1967년 프랑스 총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7년 프랑스 총선은 1965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이후, 좌우 진영의 재편과 선거구 개편을 배경으로 치러졌다. 좌파는 프랑수아 미테랑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좌파연합을 결성하고 프랑스 공산당과 선거 협약을 맺었다. 중도 및 우파 진영은 장 르카뉘에를 중심으로 민주 중도당을 결성하거나 골리즘당에 합류했다. 선거 결과, 여당은 과반 확보에 실패했으나, 중도층의 지지 속에 간신히 승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7년 3월 - 196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
196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는 온두라스에서 개최되어 과테말라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예선 토너먼트를 거쳐 6개 팀이 결선 리그에서 단판 승부로 순위를 가린 북중미카리브 지역의 국제 축구 대회이다. - 1967년 프랑스 - 1967년 칸 영화제
1967년 칸 영화제는 알레산드로 블라세티가 심사위원장을 맡고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의 《욕망》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영화제로서, 1967년 4월 27일부터 5월 12일까지 프랑스 칸에서 개최되어 경쟁 및 비경쟁 부문에서 여러 국가의 영화들이 상영되고 다양한 독립 부문 수상도 이루어졌다. - 1967년 프랑스 - 1967년 프랑스 캉통 선거
1967년 프랑스 캉통 선거는 지역 또는 입법 선거와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며, 민주사회좌파연방이 최다 의석을, 프랑스 공산당이 26.3%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1967년 선거 - 제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90년 제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조선로동당이 다수 의석을 유지했으나 의석이 감소한 반면, 총련은 의석이 증가했으며, 김일성 지도하에 사회주의 건설 헌신을 강조하며 후보 단일화를 통해 정권에 대한 지지를 보여주었으나, 불투명성과 자유로운 선택권 부재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 1967년 선거 -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67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자유민주당이 과반수를 차지하며 승리했으나, 흑운 사건으로 인한 국민적 정치 불신 속에서 투표율이 감소하고 소규모 야당이 약진하는 등 정치 개혁 요구를 반영한 선거였다.
1967년 프랑스 총선 | |
---|---|
지도 정보 | |
![]() | |
선거 정보 | |
국가 | 프랑스 |
선거 유형 | 입법 |
이전 선거 | 1962년 프랑스 총선 |
이전 선거 연도 | 1962년 |
다음 선거 | 1968년 프랑스 총선 |
다음 선거 연도 | 1968년 |
선출 의석 | 487석 |
과반 의석 | 246석 |
선거일 | 1967년 3월 5일 (1차 투표), 1967년 3월 12일 (2차 투표) |
투표율 | 80.90% (1차 투표) 12.17%p 증가 |
주요 정당 및 지도자 | |
![]() | |
정당 | 공화국민주연합 |
지도자 | 조르주 퐁피두 |
지도자 선거구 | 캉탈-2구 |
이전 선거 의석 | 249석 |
획득 의석 | 240석 |
의석 변동 | 8석 |
득표수 | 8,453,512표 (1차 투표) |
득표율 | 37.75% (1차 투표) |
![]() | |
정당 | 민주사회좌파연맹 |
지도자 | 프랑수아 미테랑 |
지도자 선거구 | 니에브르-3구 |
이전 선거 의석 | 107석 |
획득 의석 | 118석 |
의석 변동 | 11석 |
득표수 | 4,207,166표 (1차 투표) |
득표율 | 18.79% (1차 투표) |
![]() | |
정당 | 프랑스 공산당 |
지도자 | 발데크 로셰 |
지도자 선거구 | 센생드니-3구 |
이전 선거 의석 | 41석 |
획득 의석 | 73석 |
의석 변동 | 32석 |
득표수 | 5,029,808표 (1차 투표) |
득표율 | 22.46% (1차 투표) |
![]() | |
정당 | 민주중도당 |
지도자 | 장 르카뉘에 |
지도자 선거구 | 센마리팀 (상원의원) |
이전 선거 의석 | 64석 (MRP 및 CNIP) |
획득 의석 | 42석 |
의석 변동 | 22석 |
득표수 | 2,864,272표 (1차 투표) |
득표율 | 12.79% (1차 투표) |
정부 구성 | |
총리 | 조르주 퐁피두 |
이전 총리 정당 | 공화국민주연합 |
이후 총리 | 조르주 퐁피두 |
이후 총리 정당 | 공화국민주연합 |
2. 배경
1965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샤를 드 골 대통령의 압승으로 예상되었으나, 프랑수아 미테랑 후보의 선전으로 결선투표까지 이어졌다. 미테랑은 비공산 좌익 진영의 구심점이 되었고, 여러 정당들은 그를 중심으로 민주사회좌파연합을 결성했다. 이에 동참하지 못한 중도파들은 장 르카뉘에를 중심으로 민주 중도당을 결성했고, 여당은 이 과정에서 소외된 세력을 포섭해 제5공화국민주연합으로 재창당했다.
1968년 1월 1일, 일드프랑스의 센주와 센에우아즈주 해체 예정으로 경미한 개선거구가 이루어졌다.
2. 1. 좌파 진영의 결집
1965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샤를 드 골 대통령의 압승으로 예상되었으나, 프랑수아 미테랑 후보의 선전으로 결선투표까지 이어졌다. 이 선거 결과는 야당 재건의 과정을 보여주었다.1965년 대통령 선거에서 드골의 경쟁자였던 프랑수아 미테랑은 예상을 뛰어넘는 결과를 얻으며 비공산주의 좌파의 지도자로 떠올랐다. 그는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 급진당 등 여러 좌파 공화주의 세력을 모아 민주사회좌파연합(FGDS)을 이끌었다. 이 연합은 프랑스 공산당(PCF)과 선거 협약을 맺었다.
2. 2. 중도 및 우파 진영의 재편
1965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 샤를 드 골 대통령이 예상과 달리 프랑수아 미테랑 후보의 선전으로 결선투표까지 치르게 되자, 프랑스 정치권은 재편의 움직임을 보였다.프랑수아 미테랑은 비공산 좌익 진영의 구심점이 되어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급진당 등 여러 정당과 함께 민주사회좌파연합을 결성했다. 한편, 이에 동참하지 않은 대중공화운동과 소상공인과 농민의 국민중심 등은 장 르카뉘에 총재를 중심으로 민주 중도당을 결성해 연대했다.
여당이었던 골리즘당은 이러한 재편 과정에서 어느 쪽에도 참여하지 않은 세력을 흡수하여 제5공화국민주연합으로 재창당했다.[1]
2. 3. 선거구 개편
1968년 1월 1일 일드프랑스의 센주와 센에우아즈주가 해체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경미한 개선거구가 이루어졌다. 이 두 주에는 파리와 그 서부 교외 지역이 포함되어 있었다. 파리의 기존 선거구는 이미 도시 경계 내에 완전히 포함되어 있었으므로, 파리가 독립된 주가 되는 것과 관련하여 변경이 필요하지 않았다. 하지만 해체될 두 주의 나머지 선거구는 당시 설립되지 않은 이벨린주, 에손주, 오드센주, 센생드니주, 발드마른주, 발두아즈주의 선거구로 대체되었다.3. 선거 과정
1차 투표는 드골 정권에 대한 심판으로 나타났으며, 여당은 예상보다 낮은 득표를 기록했다. 이에 여권은 정치적 불안정과 적화 위험 등을 동반한 제4공화국 등으로 회귀할 것이라며 중도층을 끌어모았고, 일부 연대 끝에 결선 투표에서 승리하게 된다.[1]
조르주 퐁피두 총리가 집권 여당의 선거 운동을 이끌었지만, 여당 내부는 분열되어 있었다. 1966년 1월 내각 개편이 이루어졌다. 독립 공화당(RI) 지도자이자 경제 장관이었던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이 내각에서 해임되었다. 그의 그룹은 대통령 다수당에 남았지만, 보다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그는 골리즘 정책에 대해 "그렇지만…"이라는 태도로 이러한 입장을 요약했다.[1]
4. 선거 결과
1967년 3월 5일과 12일에 치러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에서는 제4공화국으로의 회귀, 정치적 불안정, 그리고 "공산주의 위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선거구에서는 중도파와 대통령 다수당 후보 간의 연합이 이루어졌고, 이는 우파의 결선 투표 승리로 이어졌다.
좌파는 이전 총선에 비해 성장했지만, 대통령 다수당은 단 한 석 차이로 승리했다. 중도파 의원들의 수는 골리스트들에게 타협을 강요할 만큼 충분하지 않았다. 조르주 퐁피두는 5공화국민주연합 내각의 총리로 재확인되었다.
4. 1. 정당별 의석 분포
정당 | 1차 투표 득표 | 1차 투표 득표율(%) | 결선 투표 득표 | 결선 투표 득표율(%) | 의석 |
---|---|---|---|---|---|
5공화국민주연합-독립공화당 | 8,448,082 | 37.77 | 7,972,908 | 42.61 | 243 |
민주중도당 | 2,829,995 | 15.65 | 1,328,777 | 7.10 | 41 |
기타 우파 | 1,140,748 | 5.10 | 702,352 | 3.75 | 9 |
우파 연합 | 12,418,825 | 55.52 | 10,004,037 | 53.47 | 293 |
프랑스 공산당 | 5,039,032 | 22.53 | 3,195,763 | 21.37 | 73 |
민주사회좌파연합 | 4,224,110 | 18.88 | 4,505,329 | 24.08 | 117 |
통합사회당 | 495,412 | 2.21 | 173,466 | 0.93 | 4 |
좌파 연합 | 9,758,554 | 43.63 | 8,677,585 | 46.38 | 194 |
진보와 자유를 위한 공화연합 | 191,232 | 0.85 | 28,347 | 0.15 | 0 |
합계 | 22,368,611 | 100 | 18,709,969 | 100 | 487 |
1차 투표에서는 대통령 다수당이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결선 투표에서는 중도파와 연합하여 우파가 승리했다. 좌파는 이전 총선에 비해 성장했지만, 대통령 다수당은 단 한 석 차이로 승리했다. 조르주 퐁피두는 5공화국민주연합 내각의 총리로 재확인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France
http://archive.ipu.o[...]
[2]
논문
Charles De Gaulle's Effect on French Politics
https://search.ebsco[...]
2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